반응형
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DHL 하지만 보낼 때마다 아리송하게 만드는 조건들이 있습니다.
바로 인코텀즈입니다.
오늘은 그중 DHL을 통해 작은 박스 1개~10개 정도를 보낼 때 많이 사용하는 D조건 2가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
1. DDP (Delivered Duty Paid)
☞ 관세 지급 인도 조건
이 조건은 모든 비용을 보내는 사람이 부담하는 조건입니다.
크게 송부시 부담하는 비용은 아래 두 종류가 있습니다.
- 운송 비용
- 수입, 수출 통관 비용
이 조건은 물건을 보내는 사람이 이 모든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입니다.
다만 한 가지 유의 사항은 수입 통과 시 수입 통과 신고 의무자는 수취인입니다.
2. DDU (Delivered Duty Unpaid )
☞ 관세 미지급 인도 조건
DDU와 DDP의 가장 큰 차이점은 수입 통관 비용의 지불 주체입니다.
DDP는 송 부인이 모든 부담을 지는 반면 DDU는 수취인이 수입 통관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.
간략하게 두 가지에 대해 먼저 설명을 드렸습니다.
다음에는 모든 인코텀즈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.
반응형
'사람사는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앱테크로 올해는 얼마나 벌까? (0) | 2023.01.17 |
---|---|
2020년 소비트렌드 예측 첫번째 : 친환경(에코)소비 (0) | 2020.01.23 |
[앱테크] 엠브레인 패널파워 (부업, 알바, 설문조사, 좌담회, 용돈) (0) | 2020.01.18 |
뮤지엄 오브 컬러 MUSEUM OF COLORS (0) | 2019.11.03 |
롯데 엘 포인트 재테크 (0) | 2019.08.27 |